티스토리 뷰

주식

모듈 주택 관련주 수혜주 추천

*주머니* 2025. 4. 9. 15:42
반응형

 

모듈러주택 관련주 종합 분석: 2025년 유망 관련주

 

모듈러주택 관련주 총정리

모듈러주택이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의 주택으로, 건설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가 큰 혁신적인 건축 방식입니다. 다음은 모듈러주택 관련 주요 기업들의 분석입니다.

 

 

 

 

 

1. 코오롱글로벌 (모듈러주택 대장주)

기업 개요:

  • 1960년 협화실업으로 설립, 2011년 코오롱글로벌로 상호 변경
  • '코오롱하늘채', '린든그로브' 등 주택 브랜드 보유
  • 건설, 토목, 환경, 신재생에너지 등 종합 건설업 영위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1% 증가, 영업이익 1.6% 증가, 당기순이익 9.7% 증가
  • 2024년 9월 '완도 장보고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 취득

모듈러주택 관련성:

  • 모듈러 음압병동 구축 경험 보유
  • 친환경, 스마트건설 분야로 기술 적용 확대 추진 중
  • 모듈러 시장 초기에 가장 먼저 반응한 기업 중 하나

 

2. 범양건영

기업 개요:

  • 1958년 설립, 1988년 유가증권시장 상장
  • 토목, 건축 사업 중심 (건축 76.84%, 토목 17.02%)
  • 자회사 범양플로이가 모듈러주택, 모듈러공장 사업 영위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29.5% 증가, 영업이익 38.4% 증가, 당기순이익 85% 증가
  • 자체 사업개발 및 민간제안 사업 확대 전략 추진 중

모듈러주택 관련성:

  • 모듈러 사업 비중: 2.95%
  • 자회사 범양플로이를 통한 모듈러주택 및 공장 사업 직접 추진

 

 

 

 

3. 에스와이

기업 개요:

  • 2000년 설립, 2015년 코스닥 상장
  •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제조 및 판매 전문 기업
  • 종속회사: 에스와이빌드(칼라강판), 에스와이스틸텍(데크플레이트)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48.5% 증가, 영업이익 23% 감소, 당기순이익 16.1% 증가
  • 매출 구성: 제품매출 74.67%, 상품매출 14.95%, 공시매출 9.48%

모듈러주택 관련성:

  • 과거 모듈러주택 관련주 중 대장주 역할
  • 모듈러 주택 브랜드 '폴리캠하우스' 보유
  • 모듈러주택과 가장 직접적인 관련성 보유

 

4. 다스코

기업 개요:

  • 1996년 설립된 도로안전시설 전문기업
  • WBM(선조립철근매트) 사업 진출 (43.44%)
  • 건축자재사업(32.76%), SOC사업(15.94%), 신재생에너지사업(7.85%) 영위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23.4% 증가,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모듈러주택 관련성:

  •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등과 모듈러건축위원회 회원사 참여
  • 네옴시티 사업에서 모듈러 수주한 삼성물산의 내장재 공급업체

 

5. 삼목에스폼

반응형

 

 

기업 개요:

  • 1985년 설립된 건축용 거푸집류 제조 기업
  • 알루미늄거푸집(83.73%), 판넬폼(16.27%) 생산
  • 국내 건설현장 골조공사 소요 거푸집류 생산 전문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18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3049.4% 증가
  • 알루미늄폼 중심의 내수 매출이 주된 수익원

모듈러주택 관련성:

  • 모듈러주택 부품 공급업체
  • 건축용 거푸집류가 모듈러 구조물 제작에 활용

 

6. 한미글로벌

기업 개요:

  • 1996년 설립된 국내 최초 건설사업관리(PM) 전문회사
  • 용역형CM(83.99%), 책임형CM(16.01%) 사업 영위
  • 2021년 ENR지 선정 세계 10위 PM업체(미국 제외)로 선정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33.1% 증가, 영업이익 8.8% 증가, 당기순이익 13.4% 증가
  • 하이테크 CM, 반도체, 데이터센터, 물류센터 수주 호조

모듈러주택 관련성:

  • 영국 설계/엔지니어링 기업 브라이든 우드와 업무협약 체결
  • 모듈러 건설 및 설계 표준화 기술 개발 추진
  • 모듈러 비즈니스 모델 개발 중

 

7. NI스틸

기업 개요:

  • 강건재 철강성형제품 제조/판매 및 강재리스업 영위
  • 제품(44.50%), 강재리스(25.71%), 상품(16.68%), 기타(13.11%)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45.1% 증가, 영업이익 126.5% 증가, 당기순이익 128.9% 증가
  • H형강 가격 상승으로 강재리스 수요 증가, 당진공장 완공으로 리스 제품 규모 확대 예정

모듈러주택 관련성:

  • 2019년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등과 모듈러건축위원회 회원사 참여

 

8. 덕신하우징

기업 개요:

  • 1990년 설립, 2014년 코스닥 상장
  • 데크플레이트 생산 및 시공 전문(업계 점유율 약 30%)
  • 주요 제품: 스피드데크, 에코데크, 인슈데크 등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40.8% 증가, 영업이익 357.8% 증가, 당기순이익 63.6% 증가
  • 기존 제품 개선과 해외 시장 확대 전략 추진

모듈러주택 관련성:

  • 데크플레이트가 모듈러 건축물 공법에 필수적으로 사용됨

 

9. 금강공업

 

반응형

 

 

 

기업 개요:

  • 1979년 설립, 1988년 유가증권시장 상장
  • 강관, 폼웍시스템, 배합사료, 임대업 등 영위
  • 제품(68.55%), 임대(20.63%), 상품(8.53%), 기타(2.29%)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22.8% 증가, 영업이익 61.9% 증가, 당기순이익 146.2% 증가
  • 고정비용 부담 감소로 수익성 크게 개선

모듈러주택 관련성:

  • 2019년 공공주택 실증단지 구축
  • 2020년부터 공공임대주택에 모듈러 건축방식 도입
  • 포스코 등과 모듈러건축위원회 회원사 참여

 

10. 자연과환경

기업 개요:

  • 환경생태복원, 조경, PC저류조, 환경플랜트, 건축공사업 영위
  • 지오그린 다공성 식생블록 등 친환경 건축자재 생산
  • 호안블록/투수블록(78.37%), 녹화공사/수질정화(19.58%)

최근 실적:

  • 2025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89.6% 증가,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PC제품 수요 증가로 매출 상승, 탄소중립 관련 신제품 개발 중

모듈러주택 관련성:

  •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PC모듈러주택 시공 이력 보유

 

 

투자 전략 및 시사점

 

반응형

 

 

 

기업별 특화 포인트

  1. 코오롱글로벌: 종합 건설업체로서 시스템 통합 능력과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 역량
  2. 에스와이: 모듈러 핵심 자재 생산과 자체 브랜드 운영으로 가치사슬 장악
  3. 삼목에스폼: 기존 건설 부품 공급업체에서 모듈러 부품으로의 신속한 전환
  4. 한미글로벌: 설계 및 PM 기술력으로 모듈러 건축 시장 선도 가능성

실적 관점 유망주

실적 개선 폭이 가장 두드러진 기업들:

  • 삼목에스폼: 매출 181% 증가, 당기순이익 3049.4% 급증
  • 덕신하우징: 영업이익 357.8% 증가
  • NI스틸: 영업이익 126.5% 증가, 당기순이익 128.9% 증가
  • 금강공업: 당기순이익 146.2% 증가

모듈러주택 사업 비중 관점

  • 에스와이: 모듈러 브랜드 직접 운영으로 높은 사업 관련성
  • 범양건영: 자회사를 통한 모듈러사업 직접 영위(2.95%)
  • 코오롱글로벌: 음압병동 등 특수목적 모듈러 시장 선점

 

 

투자 전략 제안

  1. 핵심 소재/부품 공급사 중심 투자
    • 에스와이, 삼목에스폼, 덕신하우징 등 핵심 부품 공급사는 모듈러 시장 확대 시 직접적 수혜
  2. 기술력 기반 선별 투자
    • 한미글로벌, 코오롱글로벌 등 기술 제휴나 자체 개발을 통해 모듈러 기술 확보 기업 우선
  3. 실적 개선 확인 후 단계적 투자
    • 모듈러 관련성이 있더라도 실적 개선이 나타나는 기업 우선 고려
    • 삼목에스폼, 덕신하우징, 자연과환경처럼 실적 턴어라운드 기업 주목
  4. 분산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 대형 종합건설사(코오롱글로벌) 30%
    • 모듈러 핵심자재(에스와이, 삼목에스폼) 40%
    • 설계/PM 전문(한미글로벌) 15%
    • 친환경 소재(자연과환경) 15%

 

모듈러주택 대장주

결론

모듈러주택 관련주는 단순 테마가 아닌 실질적인 사업 기반과 실적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정부의 모듈러 방식 도입 확대 정책과 건설업계의 기술 혁신이 맞물리면서 관련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테마 상승보다는 실질적인 모듈러 사업 역량과 실적 개선 추이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모듈러 핵심 기술과 소재를 보유한 기업들이 우선적인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